중국 해군력에 대한 러시아 분석

 중국 해군력에 대한 러시아 분석

- 중국의 해군력 주장: 중국은 구축함과 상륙함을 공격적으로 늘리며 세계 1위의 해군력을 구축했다고 주장하고 있다.

- 러시아의 평가: 러시아 정부 싱크탱크의 보고서에 따르면, 중국이 미국의 해군력을 따라잡는 데는 25년이 걸릴 것이라고 한다.

- 러시아 해군과의 비교: 중국이 러시아 해군을 넘어서는 데도 10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.

- 항모와 잠수함 전력 차이: 미국과의 전력 차이가 크다는 점이 강조되었다.


중국 2049 미래학적 분석 보고서

- 보고서 발표: 러시아국제문제위원회(RIAC)는 2025년 1월 15일 ‘중국 2049 미래학적 분석’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다.

- 보고서 내용: 이 보고서는 중국이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49년까지 미국과 비견할 만한 해군력을 구축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.

- 중국의 발전 경로: 중국의 해군력 증강에도 불구하고, 20년 이상의 격차가 존재한다고 언급되었다.

- 러시아의 우호적 태도: 중국에 우호적인 러시아 싱크탱크가 이러한 보고서를 발표한 점에서 중국은 당혹해하고 있다.


중국의 군사력 발전 시나리오

- RIAC의 예측: RIAC은 중국이 2049년까지 경제, 외교, 군사 분야에서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대한 4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.

- 위기와 침체: 보고서는 중국이 위기가 폭발하면서 엄중한 침체에 빠지는 것이 러시아에 최악의 상황이라고 경고하였다.

- 균형 유지의 중요성: 중국과 서방이 현재와 같은 균형을 유지하며 대립과 협력을 계속하는 것이 러시아의 고립을 막는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라고 강조하였다.

- 과학기술 발전 평가: 보고서는 과학기술 발전을 높게 평가하며 중국에 우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.


중국의 군사비 지출과 전망

- 군사비 지출 비율: RIAC은 중국의 국내총생산(GDP) 대비 군사비 지출이 1.5% 정도라고 밝혔다.

- 숨겨진 항목 포함: 숨겨진 항목을 포함해도 군사비 지출이 2%를 넘지 않는다고 언급하였다.

- 군비 증가 예상: 앞으로 수년간 빠른 속도로 군비를 늘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.

- 핵 초강대국으로의 부상: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와 대등한 핵 초강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.


중국의 핵 전력 증가 예측

- 핵탄두 수 증가: 보고서는 중국이 현재 600~700개로 추정되는 핵탄두를 2035년까지 1500개로 늘릴 것이라고 예측하였다.

- 제3의 핵 초강대국: 그렇게 되면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제3의 핵 초강대국이 될 것이라고 한다.

- 핵 안전 보장 문제: 미국이 아태 지역 동맹국에 제공해온 핵 안전 보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.

- 한국과 일본의 핵 보유 가능성: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이 핵을 보유하거나 미군이 아시아 최전선에 전술핵무기를 배치하는 상황이 올 것으로 예상된다.


중국 해군력의 항모 전력 차이

- 조선 능력 증강: 중국은 막강한 조선 능력을 바탕으로 해군력을 증강하고 있다.

- 함정 수 비교: 함정 수는 중국이 앞서지만, 총 배수량에서 미국 해군이 2023년 기준 450만 톤으로 중국 해군의 230만 톤의 두 배에 가깝다.

- 항모 전력 차이: 미국은 11개 항모전단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, 중국은 3개 항모전단만 보유하고 있다.

- 미국 항모 수준: 중국의 항모 중 전자식 캐터펄트를 갖춘 푸젠호가 미국 항모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된다.


중국의 잠수함 전력과 한계

- 대잠수함 작전 능력: 중국의 대잠수함 작전 능력과 장비는 크게 뒤떨어진다고 평가되었다.

- 헬기 성능 비교: 중국 해군은 러시아산 카모프-28 대잠헬기와 자체 개발한 하얼빈 Z-20 대잠헬기를 운용하지만, 미국의 시호크 대잠 헬기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.

- 해외 군사기지 숫자: 미국은 전 세계 140여 개국에 374개 군사기지를 운영하고 있는 반면, 중국은 지부티 한 곳에 불과하다.

- 러시아의 잠수함 전력: 러시아는 최신 전략 핵잠수함으로 정숙성이 뛰어난 보레이급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 해군력에 10년은 앞서 있다고 평가되었다.


미국과 중국의 군사기지 비교

- 미국의 군사기지: 미국은 본토를 제외한 전 세계에 374개 군사기지를 운영하고 있다.

- 중국의 군사기지: 중국은 지부티에 군사기지를 한 곳만 보유하고 있어 군사 보급 능력에서 비교가 안 된다.

- 군사 보급 능력 차이: 이러한 차이는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큰 제약이 될 것으로 보인다.

- 전략적 위치: 미국의 군사기지는 전 세계적으로 전략적 위치에 분포되어 있어 군사 작전 수행에 유리하다.


중국의 잠수함 전력 문제

- 잠수함 보유 현황: 미국은 71척의 핵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, 중국은 주력 공격형 잠수함이 모두 디젤 동력을 사용하고 있다.

- 전력 면에서의 차이: 이로 인해 중국의 잠수함 전력은 미국과 비교해 상당히 떨어진다고 평가되었다.

- 전략 핵잠수함: 중국은 전략 핵잠수함 094형 등을 보유하고 있지만, 속도가 느리고 소음이 커서 미 해군에 쉽게 포착된다고 한다.

- 미군의 대응 능력: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“미군의 잠수함 전력이 인태 지역 중국 해군력 팽창에 대응하는 열쇠가 될 것”이라고 보도하였다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한국형 전자전기 사업, KAI·대한항공 각축

한국 필리핀에 FA-50 수출

KF-21 보라매, 하늘을 정복하다: 시험비행 현황과 영국 수출 협상의 새로운 지평